본문 바로가기
나의감상기록

[산정무한] 금강산을 직접 보는듯한 느낌을 담은 책

by redescent Y.O 2023. 3. 10.

1. 산정무한으로 느끼는 금강산의 모습

 기말고사 수행으로 교과서에 수록돼있는 신정 무한이라는 기행문을 읽었다. 여느 때와 다르게 기행문을 독후감으로 쓰기엔 힘든 점이 많았다. 독특하고 생전 처음 보는 단어 너무 많아서 술술 읽히지 않았다. 산정무한은 금강산을 여행하면서 본모습들을 글로 표현하고, 그에 맞는 자신의 생각이 나 마음을 나타내면서 지은이의 주관적인 생각이 나 마음이 잘 묘사돼있다.

 이 기행문은 지은이가 금강산 장안사를 시작으로 명경대, 황천 계곡, 망군대, 마하연, 은제 금제, 비로봉, 마의태자의 무덤과 용마석 순으로 구경하며 각 명소들의 특징과 모습을 자세히 설명해 준다. 그 디테일한 설명이 마치 내가 금강산을 여행하는 듯한 느낌이 들 정도로 섬세하고 자세하다. 여러 명소들이 나오지만 그중에서도 나는 은제 금제라는 곳이 가장 인상 깊었고, 가보고 싶어졌다. 지은이의 묘사에 따르면 은제 금제는 "비로봉 남쪽으로 가는 고갯길로 날카로운 바위들이 수없이 겹쳐 서서 하늘로 오르기 위한 사다리처럼 보이는데, 아침에는 은빛, 저녁에는 금빛으로 보인다."라고 쓰여 있다. 상상만으로도 너무 아름다운 풍경 아닌가? 아침 일찍 금강산을 오를 때면 나를 은빛으로 반겨줄 것이고, 여행을 다 마치고 아쉬움을 안은 채 금강산을 떠날 때는 금빛 붉은 모습으로 나를 배웅해 줄 것만 같다. 여행으로 인해 지친 몸과 마음을 치유해 줄 것 같은 그런 포근할 것 같은 느낌이 드는 곳이다.

 지은이는 여행의 마지막쯤에 보았던 마의태자의 무덤에서 인생무상을 느낀다. 마의태자의 무덤은 왕의 무덤이라기엔 철책, 석상, 비문조차 읽을 수 없는 화강암 비석뿐인 너무나도 초라한 무덤이었다. 그는 천년 동안 유지됐던 나라를 망친 죄책감에 마의만 걸치고 험난한 산을 올랐다고 한다. 거기에 사랑하는 이가 있었으나 그 사람을 외면하고 중이 되었던 사람. 그의 초라하고 슬펐던 인생이 고스란히 묻어난 무덤인지라 지은이 또한 쓸쓸하고 허망한 기분을 느꼈을 것이다. 인생무상을 표현하는 구절이 있다. "고작 칠십 생애를 희로애락을 싣고 각축하다가 한 움큼 부토로 돌아가는 것이 인생이라 생각하니 의지 없는 나그네의 마음은 암연히 수수롭다." 인간은 결국 한 줌 흙으로 돌아간다는 말은 아직 어린 나조차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산정무한은 지은이의 독특하면서도 탁월하고, 다양한 묘사 방법으로 새로운 서술기법이 잘 나타나 있는 글이다. 기행문이라는 특성답게 명소 하나하나의 디테일과 역사를 말해주고 있고, 마치 나도 그곳을 같이 여행하는 듯한 생동감마저 선사해 준다. 하지만 나는 산정무한의 깊은 뜻을 이해하기에는 아직 부족한 것 같다. 읽으면서 어려운 단어들도 많았고, 해석하기 힘든 구절로 인해 막힌 적도 많았고, 결론은 어려운 글이었다. 공부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밖에 안 든다.

2. 기행문이란 무엇인가

 기행문이란 글쓴이가 여행을 하며 보고, 듣고, 느낀 것을 시간 순서나 여정에 따라 쓴 글을 일컫는다. 

 기행문은 수필의 일종으로 글쓴이가 직접 여행을 하며 보고 느낀 내용을 담았기 때문에 어느 종류의 책보다도 생생한 느낌이 담겨있다. 기행문은 여행의 시간적 순서를 토대로 작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3. 기행문의 특징

1. 여행을 떠나게된 동기, 여행을 떠라는 곳, 여행 경로를 서술하는데 보통 잘 알지 못하는 곳을 여행하기 때문에 그 지역의 특색을 알 수 있는 어휘인 지방색을 쓰기도 한다. 예를 들어 그 지역의 사투리나 특산물, 그 여행지만의 명소 등이 지방색을 느끼게 해 주며, 새로운 곳에 대한 낯 섬과 외로움을 나타내는 객창감을 나타내기도 한다.  여기서 객창감이란 나그네가 느끼는 쓸쓸함을 표현한 것을 말한다. 

산정무한에서도 객창감을 느끼는 구절을 찾아볼수 있는데 글쓴이가 마하연에서 하룻밤을 보낼때 램프 등을 보며 그리움을 표현하는 부분이다.

2. 기행문은 현재진행형으로 서술하는데 이는 생동감과 역동성을 느끼게 해 준다. 

4. 기행문을 풍성하게 만들어주는 3요소

1. 여정

어디서 출발하여 어디를 지나 어디까지 갔다 라는 순서적인 내용을 서술하는 기행문의 필수요소 중에 하나이다. 

2. 견문

여행을 통해 글쓴이가 보고 듣고, 느낀 것 등의 객관적인 사실을 바탕으로 그 지역의 특색인 지방색이 이 부분에서 나타나게 된다

3. 감상

보고 들은 사실(견문)에 대해 글쓴이가 느낀 감정을 말하며 대부분 견문 뒤에 감상을 적는다. 


 

 

 

 

 

댓글